
사업자 등록을 하게 되면 인증서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이나 위택스 세금 납부, 정부 나라장터 입찰, 정책자금등의 다양한 실무에 사용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개인사업자 범용인증서 발급의 필요성과 빠르게 발급받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안내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업자 범용 인증서란?
☑
법인 또는 개인사업자가 온라인에서 본인 확인을 하고 각종 행정처리를 진행하는데 필요한 인증서입니다.
🔸 국세청 홈택스 전자세금 계산서 발행
🔸 4대 보험 신고(고용노동부, 건강보험공단 등)
🔸 전자입찰(나라장터, 조달청 등)
🔸 은행 기업인터넷 뱅킹
🔸 전자계약, 공공기관 행정처리
사업자 범용인증서 vs 세금 계산서용 인증서 비교
☑
용도 : 사업자 범용인증서에서는 정부, 은행, 입찰 등 전방위 사용할 수 있으며 세금 계산서용 인증서는 세금계산서 업무 전용입니다.
사용범위

사업자 범용인증서 발급받는 빠른 방법
☑
1. 인증기관 선택하기
🔸 한국정보인증(KICA)
🔸 한국전자인증(KSign)
🔸 한국무역정보통신(KTNET)
🔸 한국범용인증센터
🔸 코스콤(Koscom)
2. 필요 서류 확인하기
[공통]
◾ 대표자 명의 휴대폰
◾ 대표자 신분증(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
◾ 입금내역 확인이 가능한 계좌 필요
[개인 사업자]
◾ 대표자 명의 개인 계좌
◾ 사업자 등록증명원
[법인 사업자]
◾ 법인 명의 계좌
◾ 사업자 등록증명우너
◾ 법인등기사항증명서(법인등기부등본)
3. 전자문서 지갑 발급
- 코스콤 인증 사이트에서는 전자문서를 발급받아서 이곳에 서류를 전송하였습니다.
① 정부 24(구 민원 24) 어플을 다운로드합니다.
② '전자문서 지갑 발급하기' 메뉴를 선택합니다.

③ 안내에 따라 전자문서 지갑 발급을 진행합니다.

④ 전자문서 지갑이 발급 완료되었습니다.

⑤ 네이버에서 바로가기 -> 인증 -> 전자증명서를 들어갑니다.

⑥ 전자증명서 필수약관 동의를 진행합니다.

⑦ 전자증명서 인증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⑧ 이곳에서 등본이나 사업자 등록증명원등을 발급받으시면 됩니다.

⑨ 제출하실 때 기관으로 제출을 누르시고 본인이 발급받으려는 인증서 사이트를 찾으시면 됩니다.

4. 인증서 발급 및 저장
비대면 인증 신청을 하게 되면 서류 심사 후 참조번호와 이메일로 인가 코드를 받습니다.
이메일에서 받은 인가코드와 차조번호를 입력 후에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꼭 잊어버릴 수 있으니 pc뿐 아니라 다른 저장장치에 보관저장을 해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사업자 범용인증서 발급받으시고 사업도 번창하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