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걸어서 부동산 가기/부동산투자7

스트레스 DSR3단계 적용? 대출가능 금액 빨리 받는게 좋을까? 오는 2025년 7월부터 스트레스 DSR 이 시행된다는 뉴스는 많이 보셨을겁니다. DSR도 아니고 스트레스 DSR이라는데 무슨 ㅁ라인지 모르겠고 3단계로 적용한다는데 용어 자체가 생소해서 어렵게 느껴지실 수도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엔 부동산 용어 DSR과 스트레스 DSR 에 대해 알아보고 3단계 적용시 변경되는 내용에 대해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목 차 DSR(총부채원리금 상환비율) 이란? 채무자의 모든 금융 부채의 원리금 상환액을 연간으로 나누어 산출합니다. 마이너스 통장, 신용대출, 전세자금 대출, 자동차 할부금융 등이 포함됩니다. 한편, 총부채상환비율(DTI)와 비교할 때, 원금 상환액 중 주택담보대출 원금 상환액만 포함하는 반면, DSR(Debt Service Ratio)은 주택담보대출을 .. 2025. 6. 18.
디딤돌 대출 받으려면 KB시세를 알아야 한다고 집 매매 대출 중 활용하면 좋은 디딤돌 대출이 있습니다. 금리가 낮기 때문에 가장 먼저 확인하게 되는 디딤돌 대출입니다. 요건이 충졸되면 이자상환에도 부담이 덜 가는 좋은 점이 많이 있습니다. 첫 주택 구매자나 무주택자, 예비부부, 신생아 특례조건이 좋아져서 많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목 차 디딤돌 대출 특징  디딤돌 대출 알아보기 ➔ 신청대상• 민법상 성년 (연령은 민법에 따라 계산)• 대한민국 국민 ( 주민등록표 등본에 기재된 대한민국 국민) •  접수일 현재 세대주 •  한국신용정보원 신용정보 관리규약 해당사항 없어야 함• CB점수 350점 이상•  본인 및 배우자 합산 순자산 가액 4.88억 원 이하 대출조건•5억 원(신혼/2자녀 이상 가구 6억 원) 이하 공부상 주택• 세대원 전원이 무주택• 부.. 2025. 2. 22.
전입신고 확정일자 집에서 하는 방법 인터넷으로 접수서류 총정리 안녕하세요. 이번에 이사 일로 해서 부동산 공부를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오늘 드디어 계약을 진행했답니다. 이제 그렇다면 끝인 건가? 아닙니다. 전입신고를 진행해야 합니다. 매매뿐 아니라 언제나 이사를 하게 되면 전입신고를 하게 되죠. 전에는 복지센터가 가까워서 계약서 들고 바로 갔었는데 이번에는 전입신고를 인터넷으로 진행해보려고 합니다.1. 전입신고- 이사를 하면 세대주 등 신고의무자가 이사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새로운 거주지의 읍사무소,면사무소,동사무소 또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전입신고를 합니다. - 전세나 월세 세입자인 경우에는 보증금 보호를 위해 가급적 이사당일에 전입신고를 하고 임대차계약서상에 확정일자를 받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의 행정적 서비스, 권리를 보장받음을 위함입니.. 2025. 1. 2.
종합부동산세 납부방법 납부유예 분납 알아보기 2024년 종합부동산세 12월 16일까지 납부하라는 국세청의 보도내용을 보았습니다. 11월 25일부터 순차적으로 발송하여 고지된 종합부동산세를 오는 12월 16일까지 납부하여야 한다고 합니다. 저는 아직 종합부동산세를 낼 여력이 안돼서 무심코 넘겼지만 재산세 포스팅 하다 보니 종합부동산세에 대해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1.종합부동산세란?2. 공시가격3. 공제한 금액4. 과세표준의 계산5. 부동산세세율(주택)6. 종합부동산세액 계산공식7. 종합부동산세 납부기한8. 납부 유예 신청1. 종합부동산세란?일정 금액이상의 부동산을 가지고 있을 때 일정 세율에 따라 납부해야 하는 세금입니다. 즉 부동산을 많이 가지고 계시는 분들에 한해서 이니까 너무 긴장 안 하셔도 됩니다. 부동산 투기등을 막기 위해 만들어진 세금입.. 2024. 12. 12.
재산세 계산 모르면 나만손해? 확실히 알아두기 1.종합부동산세와 재산세의 차이2.재산세란?3.재산세 계산방법4.시가표준액5.공정시장가액비율6.재산세세율7.제산세납부기간1. 종합부동산세와 재산세의 차이?종부세랑 재산세랑 차이를 모르고 둘 다 내야 하는 건가? 싶으실 건데요. 왜냐하면 부동산을 가지고 있으면 내야 하는 세금이 ' 재산세'와 ' 종부세'이기 때문이죠. 둘의 큰 차이는 ' 과세 대상' 이예요. 재산세는 무조건 토지, 주택 등 재산을 가진 사람이라면 모두 내야 하지만 종부세는 일정금액 이상의 재산을 가져야만 내는 선택적인 것이죠.즉 종합부동산세 (종부세)는 재산세 과세대상인 주택 및 토지에 대한 일정 기준을 초과할 시 부과되는 세금입니다.2. 재산세란?재산을 보유한 만큼 내는 세금입니다. 토지, 건축물, 주택 등을 가지고 있다면 매년 6월 1.. 2024. 12. 10.
재산과표 재산세 과세표준 계산방법 재산의 종류에는 토지, 건축물, 주택, 선박 항공기등을 이야기합니다.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다면 이러한 용어를 알아두는 것도 좋은 일이겠네요. 매년 바뀌다 보니 분기별로 확인하셔서 세금 관리를 잘하셨으면 좋겠습니다. 1.재산세 과세표준이란?2.시가표준액이란?3.공정시장가액비율이란?4.재산세 세율이란? 1. 재산세 과세표준이란?재산세를 계산하는 기준이 되는 금액입니다. 시가표준액(공시가격) x 공정시장가액비율  2. 시가표준액(공시가격)이란? 지방세를 부과할 때 적용하는 가격입니다.▶ 주택 - 개별주택가격 또는 공동주택가격▶ 토지 - 개벌공시지가▶ 건물 - 건물시가표준액 보통 우리가 아파트에 사는데 대부분 주택 공시가격이 바로 시가표준액입니다.3. 공정시장가액비율이란? 세금을 부과하는 기준인 과세표준을 정하기.. 2024. 12.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