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을 아껴보자는 취지로 알뜰살뜰 가계부 정리를 하는데 좋은 포인트제가 있어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탄소중립포인트인데요. 이 탄소중립 포인트는 정부가 추진하는 온실가스 감축 실천제입니다. 내가 에너지를 아끼면 포인트도 받고 환경보호의 이익을 두 가지 다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간단하게 등록만 해놓으면 쉽게 할 수 있는 에너지 감축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탄소중립포인트 란?
탄소중립 포인트는 지구온난화 기후위기 등 인간활동으로 인해 온실가스 양이 필요 이상으로 늘어났습니다. 이러한 지구 온난화를 막기 위해 탄소중립 실천을 위한 국민들에게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탄소중립포인트를 운영합니다.
2. 탄소중립포인트 종류
원래는 일상생활에서 친환경 활동을 하는 다회용 컵이용, 전자영수증 발급, 폐휴대폰 반납 등인 녹색생활신천과 전기, 상수도, 도시가스의 사용량을 절감하는 에너지, 자동차의 주행거리를 감축하여 온실가스를 감축하여 인센티브를 지급하는 제도로 나누어져 있었습니다. 하지만 24.9월에 모두를 통합하는 포인트 제로 변경이 되었습니다.
3. 실천항목은?
녹색생활실천
전자영수증 발급, 세제/화장품 살 때 리필하기, 배달앱에서 다회용기 사용 선택하여 음식 주문하기, 무공해차 대여하기, 친환경 제품 구매하기, 배달앱 및 커피전문점에서 텀블러 이용하기, 일회용 컵 보증금제 참여매장에서 일회용 컵 이용 후 반환하기, 재활용품 배출하기, 폐휴대폰 반납, 기후행동 1.5℃ 앱에서 실천 챌린지 참여하기
에너지
가정 및 상업시설에서 사용하는 에너지 사용인 전기, 상수도, 도시가스 사용량을 비교해 감축률이 5% 이상일 경우 포인트를 부여합니다.
자동차
승용, 승합자동차의 주행거리를 감축하여 온실가스를 감축합니다.
차량속도 준수하기, 급출발, 급가속, 급감 속, 급정지하지 않기, 불필요한 공회전 하지 않기, 에어컨 사용량 줄이기, 정보운전을 생활화하기, 주기적으로 자동차 점검하기, 무인증첨가제 사용하지 않기, 친환경 자동차를 선택하기 등이 있습니다.
4. 인센티브 받는 방법
녹색생활실천
에너지
감축률이 5~10% 일 시에는 전기는 5,000P, 수도는 750P, 가스는 3,000P 인센티브를 지급합니다. 10~15% 일 경우에는 전기는 10,000P, 수도는 1,500P, 가스는 6,000P입니다. 감축률이 15% 이상시에는 전기 15,000P, 수도 2,000원 가스 8,000P 적립됩니다. 또한 2회 이상 감축 인센티브를 지급받은 참여자가 유지했을 경우에는 전기는 3,000P, 수도 450P, 가스는 1,800P 인센티브를 받습니다.
자동차
자동차는 감축량이 0~1천 km 미만이면 2만 원, 1천 이상~2천 미만 km 이면 4만 원, 2천 이상~3천 미만 km 이면 6만 원 3천 이상~4천 미만 km 이면 8만 원, 4천 이상 km 이면 10만 원을 지급받습니다.
5. 신청방법
2024.9월부터 탄소중립 포인트제 3개 분야(에너지, 자동차, 녹색생활 실천)가 통합으로 변경되었습니다. 통합 회원가입하여 실적 및 포인트 조회까지 모두 가능합니다.
① 구글플레이스토어, 앱스토어에서 '카본페이' 어플을 받습니다.
② 회원가입을 진행합니다.
③ 가입 진행을 진행 한뒤 홈 화면에 녹색생활실천, 에너지, 자동차로 나뉘어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④ 녹색생활실천은 매장찾기에서 주변에 탄소포인트 적립하는 매장을 찾을 수 있습니다.
⑤ 에너지 등록은 탄소중립포인트에너지(https://cpoint.or.kr/) 홈페이지에서 가입한 뒤 주소 입력하시면 됩니다.
⑥ 자동차 등록은 매년 2월~3월에 등록이 가능합니다.
이번 한번만 등록해두면 적립하기는 쉽게 되니 모두들 탄소중립포인트로 인센티브도 지급받고 환경도 함께 지킬 수 있는 분들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누워서 돈벌기 > 정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누리카드 온라인 사용처 잔액조회 방법 (0) | 2025.02.19 |
---|---|
국가 장학금 신청 2월 4일부터 3월18일 까지 지금바로 (0) | 2025.02.06 |
2025 근로장려금 반기신청 및 지급액 확인하기 (0) | 2025.02.05 |
2025년 전기차 보조금 개편안 국비보조금 및 할인혜택 (0) | 2025.01.22 |
자동차세 연납 신청 조회 및 납부방법 (0) | 2025.01.09 |
부가가치세 신고기간 개인사업자 간이사업자 절세방법 (0) | 2025.01.08 |
2025 최저시급 최저임금 시급 주휴수당 실수령액 계산기 (0) | 2025.01.08 |
고향사랑기부제 연말정산 혜택 답례품 받는방법 총정리 (0) | 2024.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