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5년 진짜 내월급은? 4대보험 계산하고 실수령액 확인하자

by 몽타네소소 2025. 7. 17.
반응형

최저시급에 대한 뉴스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내년 2026년 최저 임금은 시급 1만 320원으로 월 환산 하면 약 215만 원(월 209시간 기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올해 2025년은 10,030원입니다. 내년에는 2.9% 로가 오른 금액입니다. 물가 상승률에 비하면 적은 금액이지만 또 소상공인 분들은 그 금액이 부담되는 쌍방향의 갈등이 아닐 수 없습니다.

월급은 300인데 실수령액은 260만 원이라는데 사회 초년생들에게는 회사가 거짓말하는 건지 싶을 수 있을 정도로 확 줄어든 느낌이 듭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4대 보험에 대해 알아보고 실수령액을 얼마나 받을 수 있을지 계산하는 법에 대해 안내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확인해 보시고 본인의 월급에 대하여 정확한 수령액을 알아보도록 하시기를 바랍니다.

 

세전 월급 계산법

 

✅ 세전 월급 계산 방법

◾ 2025년 최저시급 : 10,030원/시간

◾ 법정 근로시간 주 40시간

◾ 세전월급 = 10,030원 x 209 시간 = 2,096,270원

주 5일 근무, 1일 8시간 근무 기준이며 주휴수당이 포함된 금액입니다.

 

 

실수령액은 왜 월급과 다를까?

 

4대보험료

 세금

근로소득세 :부양가족수와 20세 이하 자녀수에 따라, 국세청의 근로소득 간이세액표 기준으로 공제됩니다.

지방소득세 : 소득세의 10% 공제합니다.

 

 

 

 

실수령액의 변화차이는 변수

 

✅ 비과세 항목

 - 내가 받는 월급은 기본급, 상여급, 수당 등의 과세 소득이 포함되나 비과세 항목은 제외됩니다.

 - 식대, 교육비, 야간교통비 등은 비과세로 처리가 됩니다.

부양 가족수

- 가족의 소득요건과 나이요건이 충족되어 공제가 됩니다.

- 가족수가 많을수록 세금은 줄어듭니다.

 

✅ 4대 보험료

- 소득이 높은 직원들은 보험료가 더 많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 나이와 소득 수준 등 본인의 요인들에 따라 달라집니다.

 

2025년 최저 임금 기준 연봉 실수령액

 

✅ 2025년 최저 임금 : 시급 10,030원

월 소정 근로시간 : 209시간(주 40시간 + 주휴수당)

 

◾ 시급 10,030원

◾ 세전 월급 - 10,030원 x 209시간 = 2,096,270원

연봉 = 월급 x 12 = 25,155,240원

 

연봉 실수령액 계산하기

 

✅ 항목 비율 / 기준 공제액(월 기준)

실제금액은 간이세액표와 가족수에 다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국민연금 4.5% 약 94,300원
건강보험 3.545% 약 74,300원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의 12.95% 약 9,600원
고용보험 0.9% 약 18,900원
소득세 + 지방소득세 약 0.3~1.0% 6,000 ~ 26,000원

 

✅ 세후 월급 / 연봉 계산(실수령액 기준)

📌 세후 월급 

• 월 세전 급여 : 2,096,270원

• 총 공제액 : 약 230,000원 ~ 280,000원

• 월 실수령액(예상) : 약 1,820,000원 ~ 1,870,000원

 

📌 세후 연봉

연 실수령액 : 월 실수령액 x 12

• 연 실수령액(예상) : 약 21,840,000원 ~ 22,440,000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