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앉아서 주식보기/주식투자

공매도 시작 내게 맞는 주식이 있을까?

by 몽타네소소 2025. 4. 1.
반응형

 

 

공매도가 3월 31일부터 재개되면서 우리나라 주식 시장의 변동이 계속해서 지속되고 있습니다. 첫날이 지난 4월 1일 공매도 재개에 국내 증시 충격이라는 문구의 뉴스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코스피도 3% 급락했습니다. 과연 이 공매도 재개가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궁금합니다. 오늘은 공매도에 관련해서 어떤 영향을 받는 것인지 나에게 수혜주가 있는지 안내하겠습니다. 이 글을 읽고 정보를 얻어가셨으면 좋겠습니다.

 

 

 

목 차

     

     

     

     

     

     

     

    과열종목 공매도 금지

     

    오늘 4월 1일자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이 되었습니다. 코스피 14개사, 코스닥 29개 사는 오늘 고매도 거래가 1일 하루 금지되었습니다. 한국거래소는 이날 국내증시 상장사 43개사를 과열종목으로 지정한다고 밝혔습니다. 

     

    코스피 상장사 : SK하이닉스[000660], 롯데지주[004990], 한샘[009240], SKC[011790], 롯데쇼핑[023530], SK [034730], 디아이씨[092200], 일진하이솔루스[271940], 카카오[035720], 한미반도체[042700], CJ제일제당[097950], HD현대일렉트릭[267260], 동원시스템즈[014820], 엔씨소프트[036570]

     

    코스닥 상장사 :  삼천당제약[000250], 네이처셀[007390], 제주반도체[080220], 테크윙[089030], LS마린솔루션[060370], 엔켐[348370], 폴라리스오피스[041020], 제닉[123330], 에스와이[109610] 등입니다.

     

    공매도란?

     

     

    연일 뉴스에 공매도 시작이라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주식을 잘 모르는 분들에게는 공매도란 단어를 많이 들어봤지만 자세히 뜻을 알지 못합니다. 쉽게 말해서 주식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식 하락을 예상하고 주식을 빌려서 매도한 후, 낮은 가격에 다시 매수하여 이익을 얻는 투자 기법입니다. 일반 주식거래와 반대되는 방식으로 주가 상승을 기대하며 주식을 매수하는 것과는 다른 전략입니다.

    투자자가 주식이 없는 상태에서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금융기관에서 주식을 빌려서 먼저 매도를 합니다.

    그 다음 주가가 하락하면 시장에서 주식을 매입해서 되갚은 뒤에 차익을 얻는 구조입니다.

     

     

     

    공매도 특징

     

    📌 주식차입 (기관과 외국인 비중이 높음)

    • 공매도는 개인보다 기관과 외국인이 활용합니다. 공매도를 위해 주식을 빌리기 위해서는 대차 거래 시장에 접근을 해야 하는 기관이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 주가 하락시 수익

    • 주식거래와 반대로 주가가 하락할 대 수익이 발생합니다.

    📌 반대매매 위험 존재

    • 공매도한 주식의 가격이 상승 시 투자자는 주식을 다시 사서 갚아야 하므로 손실입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제한적 손실 구조

    • 일반적 주식 매수의 경우 손실이 최대 투자금으로 제한되지만 공매도는 경우 주가가 계속 상승 시 무제한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공매도 장점

    📌 시장 유동성 증가

    • 시장에서 매수와 매도의 균형을 맞추며 유동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투자자들의 다양한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돕기 때문에 효율성이 높아집니다.

    📌 거품 제거 기능

    공매도가 허용되면 과도하게 상승한 주가가 조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기업의 가치와 주가간 괴리를 줄이고, 장기적으로 시장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Hedge(위험회피) 기능

    헤지펀드나 기관 투자자들이 보유한 포트폴리오의 리스크를 줄이는데 유용합니다.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 손실을 최소화하는 전략으로 활용됩니다.

    📌 가격 발견 기능

    투자자들은 기업의 내재적 가치를 분석하고 과대평가된 주식을 대상으로 매도에 나섭니다. 시장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주가를 평가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공매도 단점

     

    📌 주가 급락 유발 가능성

    • 집중적으로 공매도가 발생 시 특정 주식의 주가가 급격히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악재가 발생한 종목의 경우 공매도 세력이 몰려 주가가 급락하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 개인투자자(개미투자자)에게 불리

    • 공매도는 주로 기관 투자자나 외국인 투자자가 활용하는 전략입니다. 이들은 자금력과 정보력을 바탕으로 시장을 선점하는 반면, 개인투자자는 이러한 정보를 많이 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시장 조작 가능성

    개인투자자가 가장 무서워 하는 사례가 시장 조작이 생기는 경우입니다. 일부 투자자들이 허위정보를 흘리거나 부정적인 루머를 유포한 주가를 인위적으로 끌어내려서 수익을 내는 사례가 존재합니다. 불공정 거래는 시장 신뢰를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 기업 경영에 부정적 영향

    공매도가 증가하면 기업의 신용도와 자금 조달 능력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주가 하락으로 인해 경영진이 압박을 받을 수 있습니다.

     

    우선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대차잔고 비중이 높은 종목들이 공매도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하지만 오늘 하루 공매도 금지령이 떨어져서 어떤 변동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2차 전지 관련 주, 바이오 업종, 성장주 및 테마주 등이 공매도 세력의 타격을 받을 듯싶습니다.

    대차잔고 비중이 높은 종목들을 줄이고,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가치주 위주로 가지고 있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