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누워서 돈벌기/정부정책

청년도약계좌 나도 신청할 수 있다고?

by 몽타네소소 2025. 3. 31.
반응형

 

 

 

목 차

     

     

     

    최근 청년층의 경제적 어려움이 사회적인 문제가 되었습니다. 정부는 청년들이 안정적인 재정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을 내놓고 있습니다. 그중에 '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정책 중 하나입니다 청년들이 적은 돈으로도 자산을 모으고 적극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재정 설계의 일환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번 청년 도약 계좌는 4월 1일부터 신청 가능하다고 하니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 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에서 만 34세까지의 청년들이 일정 금액 저축하면서 정부로부터 지원을 받는 계좌입니다. 이 계좌는 청년들의 자산형성뿐 아니라 향 후 안정적인 경제자립을 도울 수 있는 중요한 도구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저축을 장려하고 장기적 재정관리를 돕기 위해 지원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소득기준이 맞으면 정부 기여금도 받고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중요한 계좌입니다. 올해부터 기여금이 증가했다고 하니 일찍이 가입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상품명 가입기간 납입금액
    청년도약계좌 60개월 1천원~70만원 내 매월 자유롭게 납입

     

    - 만기 5년(60개월) 동안 매월 70만 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납입하며 최대 월 3만 3천 원의 정부 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 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받습니다.

     

     

    청년도약 계좌의 혜택은?

     

    📌 정부 기여금

     

     

    개인 소득 (연소득, 총 급여) 에 따라  월 최대 기여금이 지원 확대 되었습니다.

     

    • 2,400만원 이하 : 24,000원 → 33,000원 (9,000원 상향)

    • 2,400만원 초과 3,600만 원 이하 : 23,000원 → 29,000원(6,000원 상향)

    • 3,600만원 초과 4,800만 원 이하 : 22,000원 25,000원(3,000원 상향)

    • 4,800만원 초과 6,000만 원 이하 : 21,000원

     

    연 최대 8.87%의 적금 상품 가입 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 비과세 적용 (3년 이상 유지 시 혜택 강화)

    기존 만기 5년 도래 전 중도 해지 시 비과세 미적용이었습니다. 2025년부터는 3년 이상 유지한 후 중도 해지 시에도 비과세 유지가 가능합니다. 또한 기여금 환수 또한 지급 유지가 60%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연 최대 7.64%의 일반적금 상품 가입효과를 누릴 수 있습니다.

     

    📌 성실납입시 개인신용평가 점수 가점 부여

    기존은 가입 유지기간에 따른 별도 신용평가 점수 가점이 없었지만 2025년부터는 2년 이상 800만 원 이상 납입 시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 최소 5 ~ 10점 부여합니다.(KCB, NICE 기준)

     

    📌 부분 인출서비스 이용

    - 만기 전 부분인출 서비스 이용이 제한되었지만 2025 변경된 사항에서는 2년 이상 유지 시 납입원금의 40% 이내에서 부분인출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청년도약 계좌 가입기준

     

    📌 신청기간

    4월 1일(화) ~ 4월 11일(금)

     

    📌 나이

    • 개좌 개설일 기준 만 19세 ~ 34세 이하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시 빼고 계산

     

    📌 개인소득

    직전 과세기간의 총 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 원 이하인 경우

    📌 가구소득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에 해당하는 자

      가구원은 청년 본인과 본인의 주민등록표 등본상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자매를 기준으로 판단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는 자

     

     

     

     

    청년도약 계좌 가입심사 절차

     

    약 2주 정도 소요됩니다.

     

    개인 및 가구 소득 확인 세부 절차(2주 소요)

    ① 나이 및 개인소득 확인

    ② 가구원 확정 및 정보제공 동의

    ③ 가구소득 확인

    ④ 확인결과 통보

     

    청년도약계좌 가입심사 절차

     

     

     

     

    가입계좌 효과

     

    소득과 가입은행, 우대금리 여부에 따라 받는 금액은 다르나 월 70만 원 적립하며 기본금리 4.5%를 유지하고 있을 것을 가정하면 예상되는 금액을 이렇게 됩니다. 이 표는 기본 4.5% 유지이므로 우대금리 포함까지 하면 더욱더 많은 금액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해당되는 대상자는 가입해서 2주정도 되면 확인 결과 통보가 있을 것입니다. 그러면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어디에서도 8% 이상 적금은 없는 상황입니다. 꼭 대상자가 되신 분들은 가입해서 혜택을 많이 받으시기를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