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앉아서 주식보기/주식투자

ISA 계좌 개설 지금 당장 시작합니다. 똑똑한 재테크 알려드립니다.

by 몽타네소소 2024. 12. 11.
반응형

요즘 2021년에 핫하게 떴던 중개형 ISA 계좌에 대해 궁금증이 많아지실 시기인 것 같습니다. 그 이유는 3년 의무기간이 올해이기 때문인데요. 저도 유튜브를 경제면을 자주 보는데 계속해서 ISA 계좌에 대해서 나오더라고요. 사실 관심이 많아서 증권에 가입을 해놨지만 어떤 계좌를 만들어놨는지 아직까지도 잘 몰랐었어요. 그러다가 어젯밤에 내가 가입한 증권에 어떤 계좌들이 있는지 다 살펴봤어요. 아니나 다를까 저도 ISA 계좌가 있더라고요. 그래서 어제저녁부터 ISA에 대해 블로그도 찾아보고 영상도 찾아 교육도 들어봤어요. 뭐 하루 만에 ISA를 완벽하게 이해하지는 못했지만 저처럼 주린이들에게 알려주기 위해 포스팅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2024년 세법개정안에 납입한도와 비과세 한도를 늘리려는 안건이 있었지만 아쉽게 현행 유지가 되었네요. 요즘 시대가 시대이니 만큼 마음이 아픕니다.

1. ISA 계좌란?

 Individu al Savings Account, (개인종합자산관리 계좌) 입니다. 개인이 금융상품에 투자하거나 예금을 통해 자산을 관리할 수 있는 계좌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여기에서는 다양한 금융상품에 대해 투자할 수 있고 한계좌에서 관리가 가능하며 세금 혜택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2. ISA 특징

 

세액 면제 : 계좌에서 발생하는 이자, 배당금, 양도소득에 대해 일정한도 내에서 세금감면을 합니다. 서민형은

400만 원,일반형은 200만원의 한도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금융상품 투자 가능 : 예금,적금,펀드,주식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하나의 계좌에서 관리가 가능합니다.

투자 한도 : 연간 납입한도로 연 2,000만 원, 총 1억 원 투자 가능합니다.(2023년 1월 1일 이후 개선내용)

가입조건 : 19세 이상 대한민국 거주자에게 개설 가능합니다.

계좌 종류 : 일반형과 서민형(소득이 일정이하인 사람을 위한 계좌)으로 나뉩니다.

3. ISA 계좌 종류

 

중개형 : 국내 상장 주식,ETF,펀드 등 직접 투자가 가능합니다.

신탁형 : 금융사에 매매만을 신탁하고 운용은 개인이 합니다.

일임형 : 금융사 기관이 계좌를 대신 관리합니다. 

4. ISA 계좌의 장단점

▶손익통산

ISA 계좌로 투자하는 동안 만기시점에 한꺼번에 최종적인 세금을 정산하게 됩니다. 즉 세금 정산 시 ISA 계좌 운영 기간 동안 투자한 모든 상품의 손익을 통산하여 과세대상 소득이 결정됩니다.

일반계좌에서 거래시에는 손해 본 것은 상관없이 수익 받은 것에 세율을 냅니다. 하지만 중개형 ISA 계좌는 수익과 손해를 합쳐 나온 통산 금액에서 세율을 매기게 되어 그만큼 세부담을 줄여주는 형식입니다.

 

▶과세이연

투자하고 있던 주식을 매도 후 현금화 할 때 세금이 붙습니다. 평소 매매 시에는 과세가 붙지 않습니다.

계좌 해지 시점에 과세가 붙게 됩니다. 배당 투자를 할 때 중개형 ISA 계좌는 배당 수익을 세전에서 재투자할 때 더 높은 투자효과가 나타납니다. 일반 계좌에서는 계속해서 세금을 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은 금액으로 재투자를 진행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수익이 다르고 비과세 혜택과 세율이 이 다르기 때문에 훨씬 더 장점이 많은 투자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중도인출 가능

3년 만기 전이라도 납입한 원금 안에서 자유롭게 인출이 가능합니다. 수익이 난 금액이 아닌 원금에서 가능합니다. 하지만 인출한 만큼의 한도가 줄어들게 되니 주의해서 인출하셔야 합니다. 그 다음해에 다시 복원되지 않습니다. 반대로 납입은

연 2000을 채우지 못하더라도 다음 해에 더 넣을 수 있습니다. 총 1억원 한도 내에 입금 가능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