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99 자동차세 연납 신청 조회 및 납부방법 자동차를 갖고 계신 분이라면 반드시 내야 하는 자동차세입니다. 하지만 연말에 세금 정리하면서 자동차세까지 내려고 하니 조금 부담스럽기도 해요. 그래서 조금이라도 세금 아낄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자동차세 연납제도 입니다.1. 자동차세 연납자동차세는 자동차를 소유한 개인/법인을 대상으로 하는 세금입니다.매년 6월 12회로 1년에 2회로 납부합니다. 연납은 2회로 납부하는 자동차세를 한꺼번에 일시납부하여 세액의 일부를 공제받는 제도를 말합니다.2. 자동차세 납부시기6월 상반기는 과세기간 1월 ~ 6월로 과세기준일이 6월 1일입니다. 납부기한은 6/16~6/30입니다.12월 하반기는 과세기간 7월~12월로 과세기준일이 12월 1일입니다. 납부기간은 12/16 ~12/31입니다.6월 1일이나 12월 1.. 2025. 1. 9. 부가가치세 신고기간 개인사업자 간이사업자 절세방법 사업자들에게는 즐겁지 않은 부가가치세 신고기간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2025년 1월에 개인사업자, 법인사업자 모두 신고기간입니다. 사업자의 매출을 확정하고 비용정리를 하는 중요한 세무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부가가치세와 신고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부가가치세란?부가가치세는 거래나 서비스의 재공에서 생기는 부가가치(이윤)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소비자가 물건을 구매할 때 부담되는 세금으로 사업자는 매출 시 받은 세액에서 매입 시 지출한 세액을 공제한 후 그 차액을 납부하게 되는 것입니다. 부가가치세 = 매출세액 - 매입세액 매출세액 : 사업자가 물건을 판매하면서 소비자에게 받은 부가가치세의 합계액매입세액 : 사업자가 상품을 매입하면서 지출한 부가가치세 합계액 🔸 매출세액 예)사업장에서 11,0.. 2025. 1. 8. 2025 최저시급 최저임금 시급 주휴수당 실수령액 계산기 2025년이 밝았습니다. 왜 이렇게 2024년이 빨리 간 듯해서 아쉽기는 합니다. 그래도 2025년을 위해 열심히 살아봐야겠죠? 올해 2025년에 최저시급이 약간 상승을 했습니다. 올해 최저시급, 최저임금과 실수령액 계산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최저임금제국가가 임금의 최저수준을 정하고 사용자에게 이 수준 이상의 임금을 지급하도록 강제하여 저임금 근로자를 보호하는 제도입니다. 1인이상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모든 사업장에게 대상이 됩니다.즉 최저임금 이상을 주지 않는 사업장은 위반 시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 원의 이하의 벌금을 부과되게 돼있습니다. 그러므로 취업 시 항상 최저임금이상 해당되는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2. 2025 최저시급올해는 2024년 대비 9,860원에서 1.7% 인상 된 10.. 2025. 1. 8. 회원가입한 사이트 한번에 확인하고 탈퇴 하기 e-프라이버시 클린서비스 네이버 카카오톡 안녕하세요. 많은 사이트를 들어가서 회원가입하고 물건을 사고 정보 제공을 받는데요. 하다 보면 내가 어느 사이트에 가입했는지 기억이 나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저도 보니 50 개 이상 가입이 되어 있더라고요. 최근에 이용하는 사이트는 알겠는데 몇 년 전에 가입해서 사용하지 않는 홈페이지는 잊어버리기 십상이에요. 그래서 사용하지 않는 사이트 회원탈퇴를 위해 찾아봤는데 좋은 방법들이 있어 포스팅합니다.1. 개인정보- 성명, 주민등록번호 등을 통하여 개인을 알아볼 수 있는 정보를 뜻합니다.- 개인정보는 전자상거래, 고객관리, 금융거래 등을 구성하는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누군가에 의해 악의적인 목적으로 개인의 정보가 유출될 경우 피해를 받을 수 있습니다.개인정보 종류로는• 인적사항- 일반정보, 가족정보• 신체.. 2025. 1. 6. 전입신고 확정일자 집에서 하는 방법 인터넷으로 접수서류 총정리 안녕하세요. 이번에 이사 일로 해서 부동산 공부를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오늘 드디어 계약을 진행했답니다. 이제 그렇다면 끝인 건가? 아닙니다. 전입신고를 진행해야 합니다. 매매뿐 아니라 언제나 이사를 하게 되면 전입신고를 하게 되죠. 전에는 복지센터가 가까워서 계약서 들고 바로 갔었는데 이번에는 전입신고를 인터넷으로 진행해보려고 합니다.1. 전입신고- 이사를 하면 세대주 등 신고의무자가 이사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새로운 거주지의 읍사무소,면사무소,동사무소 또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전입신고를 합니다. - 전세나 월세 세입자인 경우에는 보증금 보호를 위해 가급적 이사당일에 전입신고를 하고 임대차계약서상에 확정일자를 받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본인이 거주하는 지역의 행정적 서비스, 권리를 보장받음을 위함입니.. 2025. 1. 2. 고향사랑기부제 연말정산 혜택 답례품 받는방법 총정리 10만 원 기부하면 13만 원의 혜택이 있다는 말 들어보셨죠. 바로 고향사랑 기부제입니다. 또한 연말정산 시 100% 세액 공제를 받는다고 해서 알려져 있습니다. 오늘은 고향사랑 기부제 연말정산 혜택과 답례품 받는 법을 알아보도록 해요.1. 고향사랑기부제개인이 자신의 고향이나 응원하고 싶은 지방자체단체에 기부하는 제도입니다.2023년부터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고 지역 균형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기부자는 세액고제 및 지역 특산품을 받을 수 있으며 해당 지역은 기부금을 지역발전에 사용하므로 서로 좋은 제도인 듯합니다. 기부 금액은 연간 500만 원입니다.(2025년부터는 연간 2000으로 증가되었습니다)2. 고향사랑기부제 기부 방법고향사랑 e음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기본으로 .. 2024. 12. 31.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1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