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리가 났습니다. 1월 10일부터 온누리 상품권을 할인된 가격으로 만날 수 있게 되면서 홈페이지 폭주라는 뉴스가 들려옵니다. 환급행사, 할인쿠폰 등의 혜택을 적용하면 최대 35% 까지 할인된 가격으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다니 고물가 시기에 너무나 반가운 소식이 아닐 수 없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에서 물가부담 완화를 위해 10일부터 2월 10일까지 온누리 상품권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구매방법과 사용방법에 대해 알아보기로 해요.
1. 온누리 상품권
- 전국 공동 전통시장 상품권 발행 및 유통을 통해 전통시장, 상점가 활성화를 위해 발행을 한 상품권입니다.
- 종류는 지류형,모바일형,카드형으로 나뉩니다.
- 구매처와 사용법이 다르므로 잘 확인하시고 사용하시기를 바랍니다.
- 이번 설날을 맞이하여 10% 할인을 15% 상향되었습니다.
- 이벤트 기간은 2025.1.10(금) ~ 2.10(월)입니다.
2. 구매혜택 및 구매한도
상품권 금액의 10% 할인가(설맞이 이벤트 15%)로 충전할 수 있습니다. 최대 보유한도금액은 200만 원입니다.
기존 보유한 카드를 등록해 카드 결제 방식과 동일하게 사용가능합니다.
충전 시 10% 할인 혜택 (설 맞이 이벤트 15%) + 카드 사용 실적 반영이 됩니다.
전통시장 소득공제 혜택 최대 40% 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3. 사용가능 가맹점
- 전통시장 통통 사이트, 온누리 상품권 앱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가맹점에 부착된 온누리 상품권 스티커를 확인하시면 됩니다.
🔸 가맹점포 찾기
- 가맹점포 찾기
🔸 온라인 사용처 찾기
4. 사용방법
온라인 상품권은 종류가 카드형, 모바일형, 지류형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구매처와 사용법이 다르니 확인하시고 사용하시기를 바랍니다.
🔸카드형
① 온누리 상품권 충전계좌 등록하기
- 메인 홈 화면에서 계좌를 등록합니다.
- 등록 후 '충전'을 선택 후, 본인계좌 중 충전계좌를 선택합니다.
- 자동충전을 이용하시면 편리하게 잔액을 일정 금액이상으로 유지하실 수 있습니다.
② 카드등록하기
- 앱 화면에서 '카드등록'을 선택 후 본인이 평소 사용하던 신용·체크카드를 등록합니다.
- 본인 명의 카드 최대 10개까지 등록됩니다.
- 신한, 현대, 삼성, 농협, 하나, 비씨, 국민, 롯데 등록 가능합니다.
- BC이용가능 카드 : 기업, 농협, 우리, BC바로, 대구, 경남, 부산, 새마을금고, 케이뱅크, 수협, 제주, 신협, 우체국, 광주
- KB이용가능 카드 : 국민, 전북
③ 충전방법
- 온누리 상품권 메인 홈에서 '충전'을 선택 후 본인 계좌 충전합니다.
- 충전하고자 하는 금액 충전 시 10% 할인가 (설맞이 이벤트 15%)로 충전되며 최대 200만 원까지 보유할 수 있습니다.
④ 결제하기
- 가맹점 방문 후 어플에 등록된 카드로 결제합니다.
- 결제내역 확인은 앱의 화면인 ' 결제내역'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모바일형
① 가입하기
- 앱스토어 및 구글스토어에서 온누리페이 앱(APP) 다운로드합니다.
- 약관 동의 및 본인 인증 후 회원가입
- 회원가입 후 거래승인번호 6자리 설정
② 구입하기
- 앱에서 온누리 모바일 상품권 구입
- 구매 시 할인율 10% (설맞이 이벤트 15%)이며 구매한도는 200만 원으로 카드와 동일합니다.
③ 결제하기
- 가맹점 QR 촬영 후 금액 입력 ·전송 결제
④ 환불하기
- 미사용 상품권은 7일 이내 전액 환불
- 7일 지났거나 기사용 상품권은 총 구매금액의 60% 이상 결제 할 경우 앱을 통해 환불 가능합니다.
🔸 지류형
① 구입하기
- 개인이 구매 시 할인율은 5%이며 구매한도는 50만 원입니다.
- 개인이 현금 구매 시 본인신분증 제시 필요합니다
- 법인은 현금과 법인카드로 결제가 가능합니다.
② 상품권 취소
- 판매취소는 판매 당일, 판매점에서 구매자만 할 수 있으며 권종간의 교환은 불가합니다.
③ 잔액 현금 교환 및 현금영수증
- 가맹점에서 권면 금액(총 구매금액)의 60% 이상 구매할 경우 잔액을 현금으로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 교환 시 현금 영수증 발급 대상이 됩니다.
'누워서 돈벌기 > 돈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누리 상품권 환급 최대 20% 돌려준다는데 (0) | 2025.03.24 |
---|---|
홈택스 현금영수증 조회 발급하기 소득공제 한도 (0) | 2025.02.21 |
자동차세 연납 신청 무이자카드 할부 카드 어떤게 있을까? (0) | 2025.01.20 |
연금복권 1등 20년간 월 700만원 세금제외 실수령액이 얼마일까? (0) | 2025.01.17 |
회원가입한 사이트 한번에 확인하고 탈퇴 하기 e-프라이버시 클린서비스 네이버 카카오톡 (0) | 2025.01.06 |
퇴직금계산기 수령방법 지급기한 예상금액 총정리 (0) | 2024.12.30 |
2025 내 기준중위소득 확인하기 복지혜택 총정리 (0) | 2024.12.30 |
KCB, NICE 등급 비교하고 각각 점수 올리는 방법 (0) | 2024.12.27 |